전체 글
-
세상 힙한 만능 어플 노션을 소개합니다Review/IT 2020. 6. 16. 21:43
노션을 소개할 때 이걸 어떻게 딱 한마디로 정의내려서 소개할지를 많이 고민했습니다. 왜냐하면 노션을 메모 어플로 정의를 내리기에는 살짝 애매한 면이 있기 때문이죠. 메모라는 것은 노션으로 할 수 있는 아주 최소한의 일뿐 그 이상의 일들을 무궁무진하게 해낼 수 있습니다. 노션은 그만큼 여러가지로, 다방면에서 활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길이 있습니다. 개인적인 메모를 벗어나 협업을 위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블로그나 스크랩, 홍보페이지 등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그런 다양한 길들 중에 몇가지를 소개할 것이고 그 길들을 나침반 삼아서 여러분들의 노션을 꾸며보기를 바랍니다. 최근 노션이 전격적으로 무료화를 발표하면서 블럭수의 제한이 사라졌고 저 또한 이런 블럭 제한 수 때문에 따로 메모같은 ..
-
Vue.js로 To Do List 애플리케이션 만들기(하)Programming/.JS 2020. 6. 14. 23:00
2020/06/13 - [Programming/.JS] - Vue.js로 To Do List 애플리케이션 만들기(상) TodoList.vue TodoList는 추가한 값들이 로컬스토리지에 저장되고 그 저장된 것을 가져와서 차례대로 뿌려줄 컴포넌트이다. 세션이나 DB에 저장한 뒤에 처리할 수도 있지만 간단하게 로컬스토리지를 통해서 이를 구현하도록 하자. {{ todoItem }} 새로운 디렉티브가 등장했다. v-for는 지정된 갯수만큼 반복해서 HTML을 표시하는 반복문 디렉티브이다. 여기서 반복시킬 propsdata는 상위 컴포넌트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할 것이다. 상위 컴포넌트인 App.vue에서 보내주지 않은 지금 상태에서는 propsdata가 로컬스토리지에서 가져온 데이터임을 가정하고 작성한다..
-
Vue.js로 To Do List 애플리케이션 만들기(상)Programming/.JS 2020. 6. 13. 23:02
할일 관리 앱은 프론드앤드 프레임워크를 배울 때 가장 대중적으로 도전하는 활용 예제이다. 제일 무난하게 시작할 수 있는 낮은 입문턱이지만 데이터 조작(CRUD)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컴포넌트의 구조와 컴포넌트간의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도 알수있는, 간단해보이지만 이 안에 많은 것들이 함축되어있고 또한 이것을 알게된다면 여기서 응용하여서 다른 더 고도화된 앱들을 구성할 수 있다. TO DO APP 구상하기 위 사진은 우리가 만들어볼 할일 관리 앱의 완성본이다. 반응형으로 구성되어 웹 뿐만 아니라 모바일에서 봐도 문제가 없도록 UI를 구성하였다. 할 일을 input에 적어서 +버튼을 누르면 목록에 추가되고 휴지통 아이콘을 눌러서 낱개로 지우거나 Clear All버튼을 눌러서 한번에 다 지우는 것도 가능하..
-
파이썬 제너레이터(Generator)Programming/python 2020. 6. 6. 22:26
제너레이터를 설명하기 앞서 이터레이터에 대한 이해가 살짝 필요하다. 제너레이터랑 이 이터레이터에 yield 구문을 추가해 호출될 때마다 이터레이터와는 다르게 모든 값을 포함한 배열을 리턴해주는게 아니라 하나의 값만을 리턴하기 때문이다. 이터레이터란? 이터레이터(iterator)는 값을 차례대로 꺼낼 수 있는 객체(object)이다 파이썬에서는 이터레이터만 생성하고 값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을 때 값을 만드는 방식을 사용함 데이터 생성을 뒤로 미루는 것인데 이런 방식을 지연 평가(lazy evaluation)라고 함 이터레이터는 반복자라고 부르기도 함 반복 가능한 객체(iterable)와 이터레이터(iterator)는 별개의 객체이므로 둘은 구분해야 한다. 이터레이터와 제너레이터의 차이점 이터레이터는 __n..
-
메모 어플 노션(Notion) 무제한 무료화 발표IT 2020. 5. 21. 12:10
노션에서는 블록 단위로 작업을 하게됩니다. 한 블럭에 이미지를 넣을 수 있고 문단을 넣을 수도 있죠. 기존의 무료 플랜에서는 이 블록이 1000블록까지만 무료로 지원하는 점 때문에 많은 분들이 노션을 사용해보고 싶다가도 이러한 제한들 때문에 쉽사리 다른 플랫폼에서 옮겨오거나 새롭게 시도하려는 사람들이 적었습니다. 저 역시도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을 하려다가도 살짝 망설여지게 되는 점 중에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그런 장애물도 사라졌고 이 기회를 빌어 적극적으로 여러분들에게 알려드리고 권장하고 싶습니다. 조만간 제가 어떻게 노션을 활용하고 있는지, 어떤 활용 방법들이 있는지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시리즈로 노션에 대해서 포스팅을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새롭게 변경된 요금제는 위와 같습니다. 프로 버전과 거의..
-
면접에서 많이 물어보는 질문 시리즈Programming 2020. 3. 15. 21:13
#면접질문, #신입이 알아야할 개념들 2020/03/15 - [Programming] - REST의 정의와 RESTful API란 무엇인가? 2020/03/08 - [Programming] - 동기와 비동기방식의 차이점(콜백함수와 프로미스) 2020/03/01 - [Programming/java] - 가비지 컬렉션, 컬렉터(Garbage Collection)란? 2020/02/24 - [Programming] - 세션과 쿠키, 그리고 캐시의 차이점은? 2020/02/02 - [Programming] - 애자일 방법론과 TDD 그리고 BDD 2020/01/28 - [Programming] - [SQL] DCL, DML, DDL 약어 설명과 명령어 2019/11/03 - [Programming/Algorit..
-
REST의 정의와 RESTful API란 무엇인가?Programming 2020. 3. 15. 20:56
RESTful API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대충 REST한 구조로 서로 주고받는다라고 뭉퉁그려 알고있지만 제대로 된 정의가 무엇인지 한번에 대답하기는 힘들다. 정확히 REST한 구조란 무엇이고 이 구조를 사용한 RESTful한 API를 만든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REST API혹은 Restful API에 대한 설명을 하기 전에 우선 RES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REST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써 풀어서 설명하자면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해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어떤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이런 방식을 가지고 주고받겠다는 약속이라는 의미에서 코딩 컨벤션과 궤를 같이한다. REST는 웹에 존재하는 자원(이미지, 동영상, D..
-
동기와 비동기방식의 차이점(콜백함수와 프로미스)Programming 2020. 3. 8. 23:02
오늘은 자바보다는 자바스크립트, 그중에서도 노드를 사용한 서버 프로그래밍을 다룰 때 처리하는 동기와 비동기 처리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물론 동기와 비동기 자체의 개념은 모든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므로 동기와 비동기 방식의 차이점을 분명히 하고 그 개념에 대해서 알아두면 좋다. 우선적으로 동기와 비동기 처리 방식을 비유할 때 커피 주문을 예로 든다. 흔히 카페에서 커피를 주문하려고 하면 한줄로 서서 한번에 한명씩만 주문이 가능하다. 마치 큐처럼 선입선출의 과정의 코드실행의 처리 순서를 우리는 동기 방식이라고 부른다. 일단 주문이 들어가면 카페 내부의 점원들은 열심히 음료를 만들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때 한명의 점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명의 점원이 있다면 주문받은 순서대로 일을 처리하는 것이..